좋은글
2013.08.10 03:21

대화를 잘 하는 열가지 지혜

조회 수 24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pecific Location
Contact Information 로그인을 하셔야 보실 수 있습니다

대화를 잘 하는 열가지 지혜

 
 
1. 먼저 정확하게 자신을 소개하자. 마주보고 말하든 전화로 얘기하든 이름부터 밝히자. "만나서 반갑습니다.(안녕하세요) 저는 OOO 입니다." 처음 이야기를 시작할 때 '내가 지금 누구하고 얘기하는 거지?' 라는 생각만큼 본래의 의도에서 빗나가게 하는 요소도 없다. 

2. 대화에 보탬이 되는 간결하고 정확한 손동작을 개발하자. 이것은 여성에게나 남성에게나 모두 필요하다. 우선 손을 활짝 펴서 호감을 표시하자. 

3. 이름을 기억하자. 이것은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베풀어야 할 가장 중요한 예의이다. 누군가가 자신을 소개할 때에는 주목하자. 그리고 곧 그의 이름을 불러주자. "배용준씨, 만나서 반갑습니다." 혹시 이름을 정확히 알아듣지 못했을 때는 되묻자. 상대방은 자신의 이름을 알려고 하는 우리의 성실한 태도에 감사할 것이다. 

4. 말을 할 때는 상대방과 눈을 마주치자. 다른 사람이 말할 때에는 그의 눈을 쳐다보자. 눈을 마주치는 것은 우리가 말하는 내용에 대한 확신을 불러 일으켜 줄 뿐 아니라 다른 사람의 말에 가치를 부여하고 있음을 나타내 준다.

5. 늘 이런 태도를 지니자. "나는 그녀가 나와 얘기하는 것을 좋아하도록 할거야." 상대방에게 도움이 되는 말을 하자. 상대방이 관심을 기울이는 것에 대해 질문하자. 상대방이 자신을 표현하는 것을 도와 주자. 아마 그들은 우리와 얘기 하기를 좋아하게 될 것이다. 

6. 적극적으로 말하자. 행복한 표정은 보는 사람도 기분 좋다. 우리가 일하면서, 생활하면서 얻는 즐거움을 함께 나누자. 그렇게 하면 모두들 우리와 친해지고 싶어할 것이다. 불평이나 비난의 말은 삼가자.(속으론 그러고 싶더라도 참자.) 부정적인 말은 듣는 사람도 슬프게 한다. 

7. 신중하게 듣자. 그들이 하는 말 중에는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지 않기를 바라는 내용도 있다. 그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믿음을 주자. 그들은 그런 우리와 얘기하면서 편안한 기분을 느낄 것이다. 

8. 이기적인 태도보다는 상대방을 도우려는 태도로 대화하자. 다른 사람의 생각에 관심을 보이자. 자기 주장을 내세우지 말자. 우리가 진심으로 그들의 생각에 관심을 기울이면 그들에게도 그 마음이 전달되는 법이다. 물론 그들이 느끼는 신뢰도 우리에게 되돌아온다. 거꾸로 자신의 관심꺼리로만 생각이 꽉 차있는 사람이라는 느낌을 상대에게 준다면 그들은 우리와 대화하는 것을 불편하게 여길 것이다. 

9. 상대방에게 중요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심어 주자. 이것은 그들에게 모든 관심을 기울이기만 하면 되는 일이다. 지금 이 순간에는 그의 혹은 그녀의 일과 고민, 문제점만이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처럼 행동하자. 예전에 알았던 그들의 사정에도 관심을 보이자. 그렇게 한다면 우리는 기억력 좋고, 따스하고,믿음직스런 대화 상대로 존경받게 될 것이다

10. 상대방의 말을 충분히 이해했다는 확신을 주자. 일하면서 가장 골치를 썩이는 것도 바로 '오해'이다. 잘못 해석하고 잘못 이해한 데서 비롯되는 오해가 다른 어떤 이유보다 우리를 속상하게 한다. 상대방이 한 말을 우리 자신의 언어로 반복하면서 확실히 이해하자. 그리고 그들에게 확실히 이해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자. 그러면 그들은 이해 받은 사실을 고마워할 것이고 이해하려는 우리의 노력에 감동할 것이다. 

출처: http://chungnam1366.or.kr/board/board.cgi?bname=freeboard&action=view&unum=2290&page=89&SID=3440ddf8dff496426f58b5df38eae0b8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81 라이프 영주권 갱신 2 1 2012.09.05 3803
80 직장 인터뷰 복장은? 1 2 2012.09.05 6175
79 라이프 무보험 운전으로 티켓받은 경우 1 2 2012.09.05 3912
78 라이프 스피딩 티켓 받았는데 보험료 오르나요? 1 2012.09.05 4426
77 라이프 불체자 워싱턴 주 운전면허 취득 가능한가요? 1 2012.09.05 4076
76 라이프 운전면허 정지 1 2012.09.05 3777
75 비자 I-94 재신청 3달이 넘었는데 1 2012.09.05 2434
74 직장 미국 영주권자 한국에서 일할때 5 2 2012.09.01 11907
73 라이프 한국으로 3만불 송금 및 입국시 현금 보고? 3 1 2012.09.01 6554
72 라이프 한국으로 송금시 달러로 아니면 원으로? 2 2012.09.01 4435
71 라이프 한국은행도 미국체크 받아주나요? 1 2012.09.01 3466
70 라이프 30만불을 한국에서 미국으로 송금시 1 2 2012.09.01 3617
69 자동차 차 앞유리가 금이 갔을 경우 4 2012.09.01 12486
68 자동차 자동차 주행중 꿀렁 현상 1 2012.09.01 5786
67 자동차 주행중 시동 꺼짐 현상 2 1 2012.09.01 4629
66 직장 연봉 재협상 가능할까요? 1 2012.08.31 5956
65 직장 미국 일반 구직사이트는 어떤게 있나요 1 2012.08.31 3430
64 직장 레퍼런스 체크할 때 본인 동의가 필수? 3 1 2012.08.29 6080
63 직장 직장 오퍼 승낙 후 거절 2 2012.08.29 5049
62 직장 동료가 병가로 오랜기간 나오지 않을 때... & 보스란? 4 1 2012.08.29 3710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Next
/ 25

LOGIN

SEARCH

MENU NAVIGATION